신구약중간사

요한계시록의 배경,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도미티아누스의 박해와 요한계시록의 위로 요한계시록의 이해할수 없는 많은 묘사들로 인해 우리는 성경을 오해합니다. 이로인해 각종 이단들이 요한계시록이 자신들을 말한다 주장하며 나서고 있죠.  사실, 요한계시록이 쓰여진 배경만 우리가 이해하고 읽는다면 이단들이 들고나오는 이상한 개념논리에 빠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요한계시록이 쓰여졌던 도미티안 황제의 그리스도인들의 끔찍했던 박해와, 밧모섬에 유배되어 있던 사도요한에게 환상으…

민들레연못

바리새인,사두개인,에세네파,열심당 그들은 누구인가?

바리새인,사두개인,에세네파,열심당 그들은 누구인가? 신구약 중간기에 등장한 주요 종교 집단인 바리새인, 사두개인, 에세네파, 열심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들은 모두 중간기의 역사적 상황 (헬라 문화 침투, 종교 박해, 로마 지배 등) 속에서 생겨났고 예수님 시대까지 이어져서 신약성경에도 자주 등장하게 됩니다. 1. 바리새인(Pharisees) 바리새인(Pharisees)이 등장한 배경으로는 마카비 혁명 이후, 유대 사회가 …

민들레연못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밀라노 칙령, 기독교의 운명을 바꾸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밀라노 칙령 이제껏 신구약 중간사를 보면서 기독교가 자리잡아 오는 과정들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기독교인들의 고난과 순교의 현장들을 보게 되었습니다.  👉 로마 제국의 끔찍한 기독교 박해의 역사 👈 그리고 드디어 그 오랜 세월 동안 로마 제국에서 핍박받던 기독교인들의 박해가 끝나고 기독교가 국가의 종교로 공인되는 사건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로 들어가 볼께요. 오랜…

민들레연못

로마 제국의 끔직한 기독교 박해의 역사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 : 배경과 원인 1. 정치적 요인 : 황제 숭배와 국가 통합 로마 제국은 황제를 신격화하여 숭배하는 체계를 통해 제국의 통합을 유지하려 했습니다.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황제 숭배를 거부하였고, 이는 로마 당국에게 반국가적 행위로 간주되었죠. 특히 기독교인들의 황제 숭배 거부는 로마의 정치적 안정과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졌습니다. 2. 종교적 요인 : 유일신 신앙과 다신교…

민들레연못

신구약 중간사 5. 하스몬 왕조와 헤롯왕조 그리고 로마의 등장

신구약 중간사. 하스몬왕조_헤롯왕조_로마의 등장 1. 마카비 혁명 이후의 독립 왕조 - 하스몬 왕조 (기원전 164년 ~ 기원전 37년) 배경 : 마카비 혁명의 성공!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유다 마카비는 셀류코스 제국의 압제에 맞서 싸워 승리하고, 예루살렘 성전을 정결하게 합니다. 이 사건을 기념해서 생긴 절기가 바로 "수전절(한우카)" 랍니다.  하지만 혁명 이후, 셀류코스 제국이 완전히 물러난 건 아니었고, 마카…

민들레연못

신구약 중간사 4. 하스몬 왕조시대_마카비 혁명

신구약 중간사 : 하스몬 왕조시대 하스몬 왕조(Hasmonean Dynasty) : 유대의 독립 왕조 ㆍ배경 : 셀레우코스 제국의 억압 기원전 4세기, 알렉산더 대왕이 사망한 후 제국은 분열됩니다. 유대 지역은 헬레니즘 계열 국가인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죠. 헬라문화 강제 수용 정책,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에 의해 유대교가 심각하게 탄압되는데요. 이때, 마카비 혁명이 시작됩니다. 👉 안…

민들레연못

신구약 중간사 3. 톨레미왕조와 셀류쿠스왕조 통치기

신구약 중간사 3. 톨레미왕조와 셀류쿠스왕조 통치기 💬 신구약 중간사 톨레미왕조 시대(기원전 320년~198년) 1. 배경: 알렉산더 대왕의 갑작스러운 죽음 기원전 323년, 젊은 나이에 세계를 정복했던 알렉산더 대왕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게 되죠. 그 이야기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알렉산더 이야기 보러가기 문제는 후계자가 없었다는 거였어요. 그래서 그의 장군들이 제국을…

민들레연못

신구약 중간사2. 알렉산더 대왕 이야기

알렉산더 대왕: 세계를 정복하고 헬레니즘 시대를 열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대 세계를 뒤흔들었던 한 인물, 바로 '알렉산더 대왕'의 이야기와 그가 열었던 '헬레니즘 시대'의 서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그리스(헬라) 통치 시대라고 하면 보통 로마에게 복속되기 이전까지의 긴 시간을 의미하는데, 그중에서도 알렉산더 대왕의 통치기는 전례 없는 정복 활동과 문화 융…

민들레연못

신구약 중간사1. 페르시아(바사) 통치시대 이야기

신구약 중간사1. 페르시아(바사) 통치시대 이야기 1. 📜 바벨론에서 페르시아로 – 시대의 전환 BC 539년, 강력했던 바벨론 제국이 페르시아의 고레스 대왕에게 정복당하면서 역사의 큰 전환점이 시작됩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정복 이상의 의미가 있었어요. 왜냐하면, 이때부터 유다 민족의 귀환과 성전 재건의 길이 열리기 때문입니다. 📘 성경의 배경 : 고레스는 이사야서(사 45:1)…

민들레연못

성경의중간사0. 신구약 중간사를 왜 알아야 할까?

왜 성경의 중간사를 알아야 할까? 구약의 마지막 책 말라기와 신약 마태복음 사이에는 400년 이라는 시간이 비워져 있습니다. 우리는 이 시기를 신구약 중간시대라고 부르고 있고, 가끔 하나님의 침묵기라고도 이야기합니다. 과연 하나님이 침묵하신 시간이었을까요? 하지만 그 400년 동안 역사는 정말 많은 이야기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그곳에서도 여전히 하나님은 일하고 계셨죠.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내가 너희를 사랑하였노라 하나 너희는 이르…

민들레연못
게시물 더보기
검색결과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