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장묵상] 사무엘상 7장, 미스바와 에벤에셀


사무엘상 7장, 미스바와 에벤에셀

개역개정, 사무엘상 7장


언약궤가 기럇여아림으로 옮겨진 이유

벧세메스 사람들이 언약궤를 들여다본 죄로 심판을 받은 후, 기럇여아림 사람들이 궤를 가져가 아비나답의 집에 안치하였다. 당시 실로의 성소는 이미 훼파된 상태였고, 제사장 가문도 몰락하여 성막 봉사를 감당할 자가 없었기 때문에 실로로 궤를 돌려보낼 수 없었다. 그러나 기럇여아림에는 제사장 계열, 곧 아론의 자손이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아비나답과 그의 아들 엘리아살이 언약궤를 맡아 관리하였다.

언약궤는 이후 약 20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 이 기간은 블레셋의 통치 기간이기도 하며, 사무엘하 6장에서 다윗이 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기기 전까지의 시간이다. 궤가 그곳에 있는 동안 이스라엘은 고통과 억압 속에서 여호와께 부르짖었다. 여기서 “사모하니라”는 표현은 단순한 갈망이 아니라 사사기에서처럼 심판 아래서의 부르짖음을 뜻한다.



사무엘의 등장과 영적 갱신

20년이 흐른 후, 하나님께서는 사무엘을 공식적으로 지도자로 세우셨다. 이전의 전쟁과 언약궤의 상실 이후, 사무엘에 대한 기록이 없던 기간을 지나 드디어 그가 하나님의 사람으로 나타난다. 이는 사무엘 역시 역사의 주인공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따라 쓰임받는 도구임을 보여준다.

사무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회개를 촉구하며 세 가지를 명령한다. “①모든 우상을 제거하고, ②마음을 여호와께로 향하며, ③하나님만을 섬기라.” 그리고 미스바로 모이기를 요청한다. 이는 이스라엘이 다시 하나님과 언약을 회복하고 공동체로서 회개하며 기도하는 자리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백성들은 모여 물을 붓고 금식하며 회개했고, 사무엘은 그들을 위해 중보자로서 기도하였다. 이후 그는 이스라엘을 미스바에서 다스리는 사사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하나님의 기이한 구원과 ‘에벤에셀’

이스라엘 백성이 회개하고 예배하는 가운데 블레셋이 다시 침공하려 하자, 백성들은 이전처럼 언약궤를 앞세우는 대신 사무엘에게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구한다. 이는 단순한 상징물이 아니라, 참 하나님에 대한 신뢰만이 구원의 길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사무엘이 어린 양을 온전한 번제로 드리고 부르짖자, 하나님께서는 하늘에서 ‘우레’를 보내 블레셋을 혼란에 빠뜨리셨고, 이스라엘은 승리를 거두게 된다. 이 승리를 기념하여 사무엘은 돌을 세우고 그곳을 ‘에벤에셀’(도움의 돌)이라 이름 붙인다. 패배의 자리였던 그곳이 이제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승리의 장소가 된 것이다. 하나님이 함께하시면 ‘이가봇’(영광의 떠남)이 ‘에벤에셀’로 바뀐다.



평화를 주시는 하나님의 손

이 승리 이후 블레셋은 사무엘이 살아 있는 동안 다시는 침범하지 못했다. 여호와의 손이 그들을 막으셨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는 단지 적을 막으신 것에 그치지 않고, 블레셋이 차지했던 에그론과 가드 같은 도시를 다시 이스라엘에게 회복시켜 주셨다. 이처럼 하나님께서 주신 샬롬(평화)은 단순한 정세의 안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 아래 주어진 평화였다.

사무엘은 벧엘, 길갈, 미스바를 해마다 순회하며 백성을 다스렸고, 자신의 집 라마에서도 여호와를 위해 제단을 쌓고 백성을 지도하였다. 그의 통치는 단순한 행정이나 재판을 넘어서, 백성들이 하나님을 바르게 섬기게 하는 신앙적 통치였다.



이가봇인가, 에벤에셀인가?

참된 승리와 평화는 사람의 지혜나 전략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오직 하나님의 도우심에 있으며,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분의 말씀에 순종하는 자에게 주어진다. 우리의 삶이 샬롬의 삶이 되기 위해서는 말씀 안에서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길 외에는 없다.

이 진리를 깨닫고, 그 길을 인도할 영적 지도자들을 위해 기도하자. 참된 지도자는 백성을 하나님께로 이끌고, 그들의 삶을 말씀으로 바로 세우며,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 속으로 인도하는 자이다. 그런 종들이 우리 가운데 세워지기를, 그리고 우리 자신도 그들의 인도함에 순복하며 하나님께로 향하는 삶을 살아가기를 소망하자.

지금 당신의 삶은 ‘이가봇’인가, 아니면 ‘에벤에셀’인가?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