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새번역성경과 새번역성경의 다른점은?

표준새번역성경과 새번역성경은 전혀 다른 성경이 아닙니다. 많은 분들이 이 두 이름이 다른 번역본이라고 오해하곤 하지만, 실제로는 같은 번역본입니다. 다만 이름의 표기 방식이 조금 달라 혼동이 생긴 것입니다.
표기 | 정식 명칭 | 비고 |
---|---|---|
표준새번역 | 대한성서공회 발행 정식 명칭 | 출판 시 사용하는 공식 명칭 |
새번역 | 일반적으로 줄여 부르는 명칭 | 일상 대화나 책 소개 등에서 흔히 사용 |
즉, “표준새번역” = “새번역”입니다.
추가 설명
1. 정식 명칭: 표준새번역 성경 (개정판)
- 대한성서공회가 1993년부터 준비해 2001년에 출간
- 1998년의 개역개정과는 다른 노선의 성경
- 현대어 사용에 중점을 둔 번역
- 헬라어, 히브리어 원문에 더 충실하려 한 번역본
2. 왜 이름이 두 가지처럼 보일까?
- 공식 명칭은 표준새번역, 하지만 사람들이 더 짧고 익숙하게 말하려고 새번역이라 부름
- 교회, 서점, 설교 자료 등에서도 줄여서 “새번역 성경”이라 쓰는 경우 많음
- 어떤 출판사에서는 "새번역"이라고 표기된 성경책을 내기도 함 (하지만 내용은 동일)
표준새번역의 특징
- 현대 한국어 표현으로 쉽게 읽힘
- 문어체가 아닌 구어체 문장 구조 사용
-
예:
- 개역개정: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 새번역: “내가 진정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아래는 개역개정 vs 표준새번역 vs 공동번역의 대표적인 차이점을 비교한 표입니다.
📖 성경 번역본 비교표
항목 | 개역개정 | 표준새번역 | 공동번역 |
---|---|---|---|
출판 시기 | 1998년 (개역한글 개정) | 2001년 (대한성서공회) | 1977년 (개신교·천주교 공동 번역) |
번역 원칙 | 원문 직역에 충실 | 의미 중심 번역 (현대어 반영) | 쉬운 문장 중심, 해석적 번역 |
문체 | 고전적, 문어체 | 현대 한국어, 구어체 | 쉬운 현대어, 간결한 문장 |
장점 | - 전통성 - 설교와 예배에서 널리 사용 |
- 독서·묵상에 용이 - 청소년, 초신자 접근성 높음 |
- 읽기 편함 - 대중적 이해 쉬움 |
단점 | - 고어적 표현 - 문장이 딱딱함 |
- 전통적 표현 부족 - 해석이 다소 가미됨 |
- 원문과 거리 있음 - 신학적 중립성 부족 논란 |
주요 사용자 | 장로교, 감리교 등 보수 교단 | 청년부, 개혁적 교회, 출판·큐티용 | 가톨릭, 진보 교단, 교양서로 활용 |
예시 (요 3:16) |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 하나님께서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셔서 외아들을 주셨다… |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도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보내셨다… |
추가 참고
- 개역개정: 예배나 교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신앙의 전통 보존’에 중점을 둠.
- 표준새번역: 원문의 의미를 현대어로 자연스럽게 전달. 개역개정보다 쉽게 읽힘.
- 공동번역: 가톨릭과 개신교가 함께 번역했으나 신학적 견해 차이로 보수 교단에서는 덜 사용됨.
Tags:
아이템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