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39장, 참된 형통의 기준
요셉의 인생은 무너진 것처럼 보였다
형들에 의해 구덩이에 빠졌다가 애굽으로 팔려간 요셉.
그는 애굽 왕 바로의 친위대장 보디발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겉보기엔 요셉의 인생이 완전히 꼬였고 망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성경은 요셉을 가리켜 뭐라 말합니까?
“형통한 자” (창 39:2)
분명 성경은 우리와 전혀 다른 관점으로 요셉을 보고 있습니다.
성경이 말하는 형통의 근거는?
요셉이 형통하다고 말하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시므로” (창 39:2, 3, 21, 23)
요셉이 고통과 외로움 속에 있었을지라도, 하나님이 함께 하셨기 때문에
그는 형통한 자였습니다. 요셉은 이 사실을 분명히 알고 있었습니다. (5, 9, 23)
더 놀라운 것은 보디발도 그것을 보았다는 것입니다.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심을 보고, 그가 형통함을 알았다.” (3절)
그래서 그는 요셉을 가정 총무로 삼고, 모든 소유를 그의 손에 맡겼습니다.
요셉으로 인해 임한 복
요셉이 집안 일을 맡게 된 뒤부터, 여호와께서는 보디발의 집과 밭에 복을 내리셨습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 “요셉 때문에” (5절)
보디발이 선해서가 아니라, 요셉과 함께하시는 하나님으로 인해
그 집 전체에 복이 임한 것입니다.
요셉도 이것을 알았을 것입니다.
자신이 맡은 일 가운데 하나님의 복이 임한 것을 보며,
“하나님이 함께 하셨구나”라는 사실을 더 깊이 깨달았을 것입니다.
은혜 후에 찾아온 시험

그러나 바로 그 후에(7절), 사단의 시험이 시작됩니다.
표준새번역은 이렇게 말합니다.
“일이 이렇게 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사단은 우리가 은혜 가운데 있을 때,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려 할 때
우리를 가만두지 않습니다. 시험을 통해 넘어뜨리려 합니다.
요셉은 용모가 준수한 미남이었습니다. (6절)
주인의 아내는 날마다 요셉을 유혹하며 말했습니다.
“나하고 침실로 가요!” (7절, 표준새번역)
하지만 요셉은 단호히 거절합니다.
“내가 어찌 이 큰 악을 행하여 하나님께 죄를 지으리이까” (9절)
그는 이 일이 하나님께 죄를 짓는 것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유혹은 단 한 번이 아니었습니다. 날마다 계속되었습니다. (10절)
그러나 요셉은 함께 있지도 않았고, 옷을 버려두고 도망쳐 나옵니다.
유혹을 이긴 비결
요셉이 어떻게 이 유혹을 이길 수 있었을까요?
그는 분명히 “하나님이 자신과 함께 하심을 인식했기 때문”입니다.
그는 하나님 앞에서 죄를 짓는 것을 두려워했고,
하나님의 임재를 의식하며 살았습니다.
하나님 중심의 삶, 이것이 요셉이 죄를 이길 수 있었던 힘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따른 보상은 ‘감옥행’이었다
요셉은 하나님의 뜻을 따랐지만, 결과는 오히려 감옥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은 그 상황을 ‘형통’이라 말합니다.” (23절)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이 고난이 요셉이 잘못해서 자초한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만일 하나님의 뜻을 어겨 고난을 당했다면 회개해야 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았는데도 고난이 왔다면, 그때 필요한 것은 인내입니다.
참된 형통이란?
요셉의 삶은 겉으로 보기엔 암울해 보였습니다.
하지만 그 모든 장면 속에,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셨다”는 말씀이 계속 등장합니다.
즉, 성경이 말하는 형통은 외적인 성공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삶입니다.
이 사실은 감옥의 간수장조차도 알아보았습니다. (23절)
환경은 바뀌었지만, 요셉은 여전히 하나님과 동행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고난 속에서도 준비하시는 하나님의 손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야곱에게 하신 약속을 요셉의 삶 속에서도 이루고 계셨습니다.
보디발의 집을 관리하며 애굽을 다스릴 준비를 하게 하셨고,
감옥에서는 왕의 관원장을 만나게 하심으로
요셉을 왕 앞으로 인도하실 발판을 마련하셨습니다.
요셉이 겪은 고난은 헛되지 않았습니다.
그 안에는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살릴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이 담겨 있었습니다.
진정한 형통이란 무엇입니까?
부나 성공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삶,
그분의 뜻을 따라 사는 삶이 형통한 인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