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장묵상] 창세기 11장(1), 바벨탑 사건과 흩어지는 교회

n



창세기 11장, 바벨탑 사건과 흩어지는 교회

창세기 1장부터 11장까지는 ‘원역사’라 불리며, 인류 전체에 해당하는 보편적인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이제 그 마지막 장면, 바벨탑 사건이 오늘 본문의 중심입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언어 혼잡이 아니라, 인간의 교만과 하나님의 심판, 그리고 복음의 예표까지 담고 있는 깊은 본문입니다.

창세기 11장 본문보기


언어가 하나였던 세상

“온 땅의 언어가 하나요 말이 하나였더라” (창 11:1)

인류는 하나의 언어를 사용하고, 같은 생각을 나누며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그 통일된 말과 생각이 선을 향하지 않고, 교만과 자아 찬양으로 향했다는 데 있습니다.



3. 인간이 바벨탑을 쌓은 세 가지 이유

3-1. 하나님처럼 되려는 교만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 (11:4)

인간은 탑을 쌓아 하늘에 닿게 하려 했습니다.

이는 에덴동산에서 선악과를 먹고자 했던 교만과 같은 맥락입니다.

하나님과 같이 되려는 마음은 인간 안에 여전히 살아있었고,

바벨탑은 그 교만의 구체적인 표현이었습니다.


3-2. 자신의 이름을 내고자 하는 욕망

“우리 이름을 내고…” (11:4)

‘우리에게 이름을 주자’는 말은 자기 자신을 스스로 지배하려는 선언입니다.

구약에서는 이름을 짓는 행위가 지배권과 소유권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거부하고, 스스로 주인이 되려는 반역의 행위였던 것입니다.


3-3. 흩어짐을 면하려는 자기 보호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 (11:4)

하나님은 인류에게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고 명령하셨지만,

인간은 이를 거부하고 자기들끼리 뭉쳐 있으려 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뜻을 외면하고, 자기 보호와 안정을 우선한 결정이었습니다.



하나님의 개입과 언어의 혼잡

“자, 우리가 내려가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자” (11:7)

하나님은 인간의 교만과 욕심을 보시고, 직접 개입하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심으로써, 인위적 연합을 무너뜨리시고, 흩어지게 하셨습니다.

바벨은 ‘혼잡’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인간의 교만한 시도가 하나님의 손에 의해 무산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인간의 바벨탑 VS 성령의 하나됨

바벨탑에서는 인간이 스스로 하나되려 했지만, 결국 심판과 분열로 끝납니다.

반면에,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에서는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자들이 성령 안에서 하나 되어 복음을 듣고 믿게 됩니다.

“각 사람이 자기 나라 말로 듣기를 놀랍게 여겨…” (행 2:6)

진정한 하나됨은 인간의 힘이 아닌, 성령 안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조입니다.



교회의 사명: 모임과 흩어짐의 균형

바벨탑은 하나님 없이 인간끼리 모이려는 실패의 상징입니다.

반면 교회는 하나님 안에서 모이고, 다시 세상으로 흩어져야 할 공동체입니다.


모이는 이유: 예배와 말씀, 교제와 회복

흩어지는 이유: 세상 가운데 복음의 빛을 비추기 위해

흩어지는 것은 곧 각자의 삶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삶을 의미합니다.



지금, 우리는 흩어져야 할 때

지금의 한국교회는 모이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제는 흩어져서 각자의 삶 속에서 하나님을 드러내야 할 시점에 와 있습니다.

교회의 존재 목적은 단지 모임이 아니라,

세상 속에서 살아있는 복음의 증거가 되는 삶입니다.



성령 안에서 모이고 흩어지자

우리는 바벨탑의 사람들처럼 교만과 욕심으로 모이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하나됨 안에서 모여야 하며,

그 힘으로 세상 속으로 흩어져야 합니다.

주일에 모여 예배하는 이유는,

일주일 내내 세상에서 예배자의 삶을 살기 위한 준비입니다.

"교회는 흩어지기 위해 모이는 것이다."

우리의 이름이 아닌 하나님의 이름이 높임 받는 삶,

흩어진 곳곳에서 소금과 빛의 역할을 감당하는 삶,

그런 믿음의 성도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